짬짜미 독서
도서명 |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 ||
지은이 | 홍춘욱 | 출판사 | 포르체 |
책읽을 시간이 없다. 짬짜미(그때그때) 읽다보면 ~~ 지식이 되고 지혜가 되고 무기가된다. |
이 책은 유튜브를 통해서 먼저 알았다. 책 소개를 하면서 체인지그라운드 에 나와서 가난과 갑질로부터 벗어나려면 , 절대 필요한 것 1가지라는 제목으로 대담을 했는데 그 유트브를 한 10번정도 봤다. 너무나 가슴에 다가와서 ~~
처음 주식을 했을 때 그리고 그 주식으로 전세금 다 날리고 직장에서 갑질을 당했을 때 그리고 그 회사에 나와서 새로운 직장을 갔을 때 마다 나의 경력을 쌓아가는 과정 그리고 갑질을 당했을 때 나의 처신에 대해서 가슴깊이 다가오는 것이 있었다. 결국 돈이다. 부자가 아닌 우리는 평범한 샐러리맨으로서 파이어(경제적자립) 할 수 있었던 여러 가지를 조곤조곤 이야기하는 것을 들으면서 결국은 우리가 살아가면서 돈이 참으로 필요하구나 그런 생각들이 가슴에 와 닿았다. “아내 몰래 비상금 3억 모우기”를 쓴 문석근 교수님의 말도 가슴이 와 닿았다
2-3년내에 퇴직을 한다. 과연 나는 돈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가? 그래서 뒤늦게나마 주식을 하고 있다. 해외주식과 국내주식을 조금씩 하고 있다. 이 조차도 쉽지는 않다. 계속해 볼 생각이다.
서문에
제로금리 시대, 투자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는 세상이 왔다.
제1장 : 돈 벌고 싶다면 돈 공부가 먼저다
1. 가만히 있다가 ‘벼락거지’가 된 사람들 ⇒ 예금이자가 너무 낮다
2. 그들은 왜 주식투자에 뛰어들었나 ⇒ 부동산의 리스크 기회비용이 낮다 결국 주식시장에 뛰어 든다
3. 경제적 자유, 그 멀고도 험한 길 ⇒ 20억원으로 파이어 (경제적독립)한다
4. 부자가 되고 싶다면 당장 생각부터 바꿔라 ⇒ 부자가 되면 무엇이 좋을까요?, 돈이 많으면 행복할까요? 큰아들에 대한 물음에 대해 “부유해지면 어려운일은 다른사람에게 맡기고 기댈수 있다. 다른사람의 도움을 받고 적정한 대가를 치름으로써 다른 가치나 더 큰 가치를 얻을 수 있다. 가까운 예로 집안일은 결혼한 사람이나 혼자사는 사람에게나 예외가 없다.
무조건해야 하는 일이다.
집안일에 도움이 필요하면 가사도우미에게 의뢰하고 빨래는 세탁전문점에 맡기면 된다. 자 녀에게 직접 수학이나 영어를 가르치보다는 방과후 수업이나 학원을 통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다.
자신의 관리하에 직접해야 한다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지난 시즌 MVP를 받은 농구선수 르브론 제임스를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그는 세계에서 농구를 제일 잘 하는 사람중에 한명이고, 그에 걸맞게 연봉도 엄청 높다.
여기서 그는 시간당 2만달러를 벌고, 또 키도 크고 힘도 세기에 정원을 가꾸는 일도 매우 잘한다고 가정해보자. 즉 르브론 제임스는 농구는 세계 최고 수준이고 탁월한 정원사이기도 한것이지만 그런데 그가 힘들게 운동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서 직접 정원을 가꾸는 것이 정말 적절한 행동일까 홍춘욱 박사님 생각으로는 시간당 20달러를 지불하고 정원사를 고용해 멋진 정원을 가꾸고 그 대신에 자신은 여가도 즐기며 농구실력을 더 가다듬기 위해 단련할 수 있는 일을 시도하는 편이 낫다. 몸관리를 잘해서 은퇴시기를 1년 늦추기만 해도 그의 생애소득은 수천만 달러 이상 늘어날 것이다
열심히 돈을 버는 것에만 신경쓰지 말고 , 자산을 잘 굴리는 데에도 신경쓰야 한다. 즉 ‘돈이 돈을 버는’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무작정 좋은 테마주 없어 같은 질문을 징니들에게 던지기 보다 어떻게 돈을 벌어들이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는지 문의 하는 방향으로 바뀌었으면 한다. 황금알을 찾으러 숲을 헤매기보다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키우는”농장주가 되는 방향으로 나아가면 어떨는지 묻는다.
돈과 행복에 관한 불편한 진실
미국의 경제학자 리처드 이스털린이 주장한 이론이다. 그의 이론은 소득이 일정수준을 넘어서는 순간 행복감이 더 이상 높아지지 않는다. 그러나 이 주장에 대해서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평균의 오류: 10명이 있는 술집에 워런버핏이 들어오면 갑자기 평균 순자산은 수천억원, 아니 10조 가까이 뛰어오를 것이다. 워런버핏은 2020년 기준으로 825억 달러의 순자산을 가지고 있으니 원화로 약 92조원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돈이다.
그러나 버핏을 포함한 11명중에서 여섯 번째로 부유한 사람의 소득 즉 ‘중앙값 순자산’은 2억원 내외로 큰차이가 없을 것이다. 따라서 불평등이 심한 세상에서 평균 순자산보다 중앙값 순자산이 더욱 중요한 의미이다. 최근 1년 사이에 한국가계 순자산의 평균과 중앙값의 격차가 크게 벌어진 것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의 자산 불평등이 심화되었다고 볼수 있다.
https://nikang-nekang3737.tistory.com/450
'독서감상문, 책소개 , 리뷰..등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의 역사는 되풀이된다. (3)- 비트코인을 어떻게 생각하는가 ? (0) | 2022.03.23 |
---|---|
돈의 역사는 되풀이 된다 (2)- 홍춘욱박사의 부의 미래 ^^ (0) | 2022.03.21 |
미국주식으로 은퇴하기 - 짬짜미 독서 ^^ (0) | 2022.03.04 |
왓칭 : 신이 부리는 요술 ☞ 짬짜미 독서 ^^ (0) | 2022.03.02 |
마음챙김의 시 - 짬짜미 독시(詩) ^^ (0) | 2022.02.24 |